|   | 
  | 
  |  
|   | 
- 피복에 사용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친환경 소재이며,    접착력과 내약품성이 우수하다. - 우수한 전기 절연 저항으로 전식 염려가 없다. - 흡습, 흡수성, 휨 가공으로 인한 손상이 없다. - 편리한 현장보수가 가능하다. - 관이음쇠 및 기타 악세사리의 피복이 가능하다. - 피복 색상의 선택이 자유롭다. | 
  |    |    | 
|   | 
  | 
 원관 및 관이음쇠 |  
|   | 
 
| 호칭지름 (A) | 
원   관 | 
이음쇠 |  
| 80 ~ 2,500 | 
 KS D 3507 (배관용 탄소강관) | 
 KSB 1533 (나사식 강관제 관이음쇠) |  
|  KS D 3562 (압력 배관용 탄소강관) | 
 KSB 1541 (배관용 강제맞대기 용접식 관이음쇠) |  
|  KSB 1542 (배관용 강제삽입 용접식 관이음쇠) |  
|  KS D 3583 (배관용 아이크용접탄소강관) | 
 KSB 1543 (배관용 강판제맞대기 용접식 관이음쇠) |  
|  KSD 3578 (수도용 도복장 강관 이형관)  |   
  |    |    | 
  | 
|   | 
| ※ | 
 피복두께 (KS D 3607) |  
|   | 
 
| 호칭지름 (A)  | 
피 복 두 께 |  
| 1호 | 
2호 |  
| 100 이하 | 
1.2 이상 | 
1.8 이상 |  
| 125 ~ 250 | 
1.5 이상 | 
2.0 이상 |  
| 300 ~ 500 | 
2.0 이상 | 
2.2 이상 |  
| 550 ~ 600 | 
2.2 이상 | 
2.5 이상 |  
| 650 ~ 2500 | 
3.0 이상 | 
3.5 이상 |   
  | 
  |    |    | 
  | 
|   | 
  | 
  |  
|   | 
| 
 - 기존 분말용착식 폴리에틸렌 피복의 단점을 보완한 3층 피복 특허  |  
|   | 
 기술을 적용한 제품으로서, 우수한 물리, 화학적 특성을 발휘하므로 산성 또는 알칼리성이 강한 토양지역에 저하 매설하여도 반영구적인 내부식성을 유지할 수있다.  |  
| - 사용온도범위가 -45℃~80℃로써 냉한지역 및 열대지역등 광범위 |  
|   | 
 한 주위환경에서도 시공 가능하다.  |  
| - 수분 침투가 되지 않으므로 매우 탁월한 전기 절연 성능을 발휘하 |  
|   | 
 며 음극 방식의 경우 방식 전류밀도를 현저히 낮출 수있어 경제성  |  
|   | 
 이 우수하다.  |  
| - 피복의 분체 에폭시 접착층은 강관 표면 요철 부위에 완전히 침투되 |  
|   | 
 어 밀착되므로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한편 화학적 결합과 격자   |  
|   | 
 구조를 형성하여 고도의 접착력을 유지한다.  |    |    | 
  |    |    |    |    | 
  | 
|   | 
| ※ | 
 분말 3층 피복강관의 피복두께 |  
|   | 
 
| 호칭지름 (mm)  | 
피 복 두 께 |  
| 1등급 | 
2등급 |  
| 100 이하 | 
1.5 이상 | 
1.8 이상 |  
| 125 ~ 250 | 
1.8 이상 | 
2.0 이상 |  
| 300 ~ 500 | 
2.0 이상 | 
2.2 이상 |  
| 550 ~ 600 | 
2.2 이상 | 
2.5 이상 |  
| 650 ~ 2500 | 
2.5 이상 | 
3.5 이상 |   
  | 
  |    |    |    | 
  |